[스포츠월드] 스트레칭은 ‘근육 보약’ 운동 전보다 운동 후가 바람직
유산소운동이나 근육운동 등 본격적인 운동에 앞서 준비운동의 일환으로 스트레칭을 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사실 운동 전 기지개를 켜듯 스트레칭을 시원하게 하고 나면 몸의 유연성이 향상되는 느낌이 드는 데다
운동 중 부상 방지에도 도움이 될 것 같은 기분이 들게 마련이다.
그러나 2000년대 초반부터 일부 전문가는 과학적 근거 부족을 내세우면서 운동 전 스트레칭 무용론을 꾸준히 제기해왔다.
부상 방지에 하등 도움이 안 될 뿐 아니라, 오히려 실이 될 수도 있다는 주장이다.
그런데 최근 이런 주장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가 또다시 나왔다.
크로아티아 자그레브대 연구팀은 ‘스칸디나비아 운동 의과학지’ 2013년 3월호에서 1966년부터 2010년까지
발표된 104편의 관련 연구를 분석한 결과, 고정자세에서 하는 정지성 스트레칭을 준비운동으로
시행할 경우 운동 능력이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즉 정지성 스트레칭은 근육 유연성을 향상시키기는 하지만, 근육과 관절의 지지력을 떨어뜨려
오히려 일반적인 근력과 순간적인 힘을 내는 능력을 모두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그리고 만일 이런
스트레칭을 90초 이상 지속할 경우 근력 저하가 더 현저히 나타난다고 밝혔다. 물론 스트레칭 시간을
줄이면 부정적 효과 역시 줄일 수 있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없애지는 못한다고도 강조했다.
이런 분석을 바탕으로 연구팀은 준비운동으로 정지성 스트레칭만 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정지성 스트레칭은 피해야
그런가 하면 미국 텍사스의 한 대학 연구팀도
2013년 4월 ‘체력-상태 조절 연구 저널(The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비슷한 주장을 했다. 그들은 분석을 위해 스쿼트(squat·허벅지가 무릎과 수평이 될 때까지 앉았다
섰다 하는 하체운동)를 기준으로 삼았다. 즉 동일 조사대상자에게 한 번은 운동 전 정지성 스트레칭을 한 후
스쿼트를 하게 하고, 또 한 번은 스트레칭 대신 워밍업을 한 다음 스쿼트를 하게 한 것이다.
그 결과 스쿼트 전 정지성 스트레칭을 한 경우 무게를 드는 능력이 8.36% 감소했다고 한다.
이 연구팀은 2010년 골프 운동에서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발표한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