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포츠월드] 농구공(Basketvball)의 종류

카테고리 없음

by KANGSKYGOD 2019. 3. 5. 14:52

본문




[스포츠월드] 농구공(Basketvball)의 종류




농구공의 시작은 축구공에서 시작되었다.


12판넬 축구공으로 복숭아 바구니 2개를 체육관 양쪽 발코니에 붙여 사용하였고 골이 들어가면 공을 꺼내서 경기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농구공이 주황색인 이유는?


창안 당시 천연 소가죽(갈색)을 사용하였기 때문이며 천연 소가죽 공급은 미국에서 조달하고 있다고 한다.


현재 KBL과 NBA등 대부분의 프로리그와 국제대회에서 주황색 공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꼭 주황색만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각 리그의 성격에 맞게 색상과 디자인을 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WKBL, WNBA는 주황색과 흰색이 교차된 공을 사용하고 있으며 FIBA 도 주황색볼과 주황/흰색볼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농구공의 내부구조는?


1단계 : 원형 합성고무 튜브(부틸·butyl)


공기 보존과 탄력을 위한 공기 주입구가 달려있는 고무 주머니


2단계 : 보강재(특수 나일론)


공의 변형을 막기위해 나일론사등의 실을 특정한 패턴으로 감아 층을 형성


3단계 : 2겹 고무층


공기누출을 최소화 하는 역할


4단계 : 외피층(원단)


돌기 및 특수표면 코팅 처리로 손의 접촉성(그립감)을 향상시킨 외피층


 


 


농구공을 야외용과 실내용으로 구분하는 기준은? (공의 종류는?)


실내용(Indoor)


천연가죽 소재로 마모도는 약하나 그립감은 좋음


 


 


야외용(Outdoor)


인조가죽 또는 고무소재로 그립감은 약하지만 마모도에 강함


cf. 가죽이 섞여있으면 마모도는 약해지지만 그립감을 살릴 수 있으며 흙코트나 콘크리트 코트에서만 사용해야 할 경우는 고무소재의 공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KBL, NBA 공인구가 딱딱하고 거친 느낌인 이유는?


인조가죽의 경우는 특수 코팅처리(점착제)를 통하여 초기의 점착성이 뛰어나지만 사용량이 늘어나고 시간이 흐를수록 그립감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반면 공인구(천연가죽)은 촉감이 거친 반면 사용할수록 느낌이 좋아지고, 그립감이 오래 유지된다.


 


 


공기압 측정 방법은?


공의 주입구에 공기압이 적혀있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사용하는 코트에 따라서 반발력이 다르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측정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1차 측정


볼을 잡고 엄지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1~2mm 들어가는 느낌이 적당하다.


 


2차 측정


공의 하단을 180cm 높이에서 떨어트려 바운드된 높이가 ⅔정도(120~140cm)인 가슴 정도에 오면 플레이하기에 적당하다.


 


 


농구공 구입시 참고사항.


1. 크기


현재 6호와 7호가 경기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6호 : 유소년 및 여성용 크기. (유소년대회 및 WKBL 규격)


7호 : 성인용(남자) 크기. (성인남자용 규격)


구분은 공의 모델넘버 끝자리가 6으로 끝날 경우가 6호공이다.


 


2. 재질


천연가죽 : Official GameBall 또는 Indoor Ball 표기


날카롭거나 뾰족한 것과 같은 예리한 지형지물과 접촉시 쉽게 긁힌다.


 


인조가죽 : Indoor/Outdoor 공용으로 표기


천연가죽보다는 습기 및 마모에 강하게 제작되어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고무재질 : Composite Rubber 로 표기


고무재질이라 긁힘에 강하고 습기에 강한 반면 가죽제품의 그립감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3. 공인마크 확인


FIBA : 국제농구연맹에서 공인한 공


KBL : 한국프로농구에서 공인한 공


KBA : 대한농구협회에서 공인한 공


NABA : 생활체육 농구연합회에서 공인한 공


cf. 각각 공인한 기관의 주최 경기에서 공식시합구로 사용되고 있다.


 


4. 균형검토


공을 평면이 매끄러운 곳에서 회전시켜 회전이 일정한지 확인한다.


cf. 볼의 변형이 생겼을 경우에는 공의 회전이 일정하지가 않고 특정 부분이 튀어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원단 접착상태


농구공의 외피가 떠있으면 안되며 검은색 홈 부분을 손으로 문질러 걸림이 없어야 하고, 검은색 고무 부분과 원단이 벌어져 틈새가 있어도 안된다.